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대만사회] 여자가 한(恨)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여자가 한을 품어 5월에 서리가 내린걸까? 한 여자가 교통사고로 죽은 날로부터 7일 후 그 여자가 사고를 당한 비슷한 시간, 비슷한 현장에서 가해 남성이 교통사고로 죽었다. 우연이라 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부분이 많은 교통사고다.

피해 여성 故 정모 씨
지난 12일 새벽 타오위엔(桃園)에 사는 피해자 故 정모 씨(22세, 여성)는 27일 사망한 故 증모 씨(신주 新竹 출신, 30세, 남성, 전과 기록 유)를 태우고 타이완 3번 고속도로 하행 137키로미터 지점을 지나는 지점에서 갑자기 중앙분리대를 들이받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운전자 정모 씨는 중태에 빠졌고 옆에 있던 증모 씨는 경상을 입었다. 사건 발생 경위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던 블랙박스가 꺼진 상태라 차 안에서 둘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 수 없었다.

12일 사고 당시 현장 / SET
12일 사고 당시 현장 / TVBS
故 정 씨의 유가족과 남자친구의 증언에 따르면 故 정모 씨와 故 증 씨는 채무관계가 있었다고 한다. 증 씨가 한화 약 500만 원을 빌려갔던 것. 5월 3일 그녀는 갚은 돈을 받으려고 증 씨를 찾아 갔으나 갚을 능력이 되지 않는 그는 돈을 빌려준 그녀를 죽여버리겠다고 협박을 하였다.


12일 사고 발생 후, 병원으로 후송된 그녀는 응급 조치를 받는 도중 그녀의 가슴 부분에서 케타민이 발견되었다. 또한 다리에 경상을 입은 증 씨는 권총 1정과 12발의 총알, 그리고 소량의 암페타민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범행을 시인하였으나 경찰은 그를 귀가 조치시켰다. 그리고 20일 故 정모 씨는 숨졌다.

해당 사건을 다룬 빈과일보를 보도하는 뉴스 
그녀가 숨진 지 7일이 지난 27일은 頭七일이었다. 이 날 새벽 용의자 故 증모 씨(신주 출신, 30세, 남성, 전과 기록 유)는 타이페이 방향으로 올라오고 있었다. 12일 새벽 사고 발생 지점으로부터 약 15킬로미터 가량 떨어진 3번 고속도로 상행선 151킬로미터 지점에서 중앙분리대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용의자 증 씨는 현장에서 즉사했다.

의문의 차량 사고로 숨진 증 씨 / 빈과일보
그가 몰던 차 문에는 총알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보조석에는 가죽가방 하나가 있었으며 그 속에는 권총 1정과 총알 3발이 들어있었다. 또한 차량 유리에도 총알이 박혀 있었다. 수사 결과 단순 교통사고로 앞 유리에 부딪혀 생긴 뇌사로 판명되었다. 타살의 흔적은 없었다고 한다.

응급실에서 이 남자를 본 의사는 놀랬다. 불과 열흘 전에 교통사고로 치료를 받았던 사람이 또 다시 사고로 싸늘한 시신이 되어 나타난 것이다.

우연인가 필연인가 / ETTV
괴담에서나 볼 법한 이 사건에는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필연적인 부분이 너무 많다.

(1) 3번 고속도로 먀오리(苗栗)에서 발생
(2) 두 사고가 발생한 지점이 매우 가깝다. (15킬로미터 내)
(3) 두 사고가 발생한 시간이 새벽 4시 경이다.
(4) 두 사고 모두 차량 1대가 직접 중앙분리대를 받았다.
(5) 첫 사고로 인한 피해자가 사망한지 7일되는 날 용의자도 사망했다.
대만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7일 째되는 날을 頭七(토우치)라고 부른다. 명리학에서는 사람이 세상을 떠난 날로부터 계산을 하며, 제 6 일 저녁부터 제 7 일 새벽을 일컫는다고 한다.  이 날은 세상을 떠난 혼이 마지막으로 집을 방문하며, 이 때 가족들은 마지막으로 식사를 준비한다고 한다.

제보/후원/기타 문의: nowformosa@gmail.com 
Facebook 페이지: www.facebook.com/nowformosa → 바로가기

[대만은 지금] 후원하기

최근 인기 뉴스

대만서 가장 흔한 성과 이름은?

가장 흔한 성은 '천',  가장 흔한 이름은 '지아하오', "수펀' 시대별 인기 있는 이름 있어... [대만은 지금 = 박지현(朴智賢) 기자] 대만에서 가장 흔한 성은 '천'(陳, 진) 씨고, 지아하오(家豪, 가호)와 수펀(淑芬, 숙분)을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름은 한국에서 '철수'와 '영희'쯤 되는 범국민적 이름으로 대만에서는 시장에 널린 만큼 흔해 빠졌다는 의미로 소위 ‘시장 이름(菜市場名)’이라고 불린다.

[단독] 서울에서 발견한 대만 한국인의 흔적, 대만산 ‘대형목각호랑이’

서울올림픽 성공 기원을 담아 기증된 대만산 목각호랑이 [류정엽 촬영=대만은 지금]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서울올림픽이 개최된지 어느덧 30년이 훌쩍 지났다. 국내외 한국인들은 하나가 되어 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했고, 이를 통해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큰 입지를 다져 국격이 높아지길 바랐다. 물론, 재대만 한인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포토뉴스] 대만 노동절, 현장을 가다

5월 1일 노동절(勞動節)을 맞이하여 대만 전국 각지에서 타이베이로 모인  80여 개 노조, 약 1만여 명이 도심 행진을 가졌다. <사진: 류정엽(柳大叔)> 다른 기사 보기 노동절, 1만여 명 전국에서 모여 <대만은 지금> (페이스북) 좋아요 누르러 가기

[대만 꿀팁] 대만 주소의 영문주소 표기 방법

  [대만은 지금 = 안재원]  대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가끔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주소다. 사실, 중국어로 주소를 적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한국과 대만의 주소 체계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가끔 국제 택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영문주소로 변환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만의 행정구역 단위만 대략 알고 있으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다. 대만 주소는 일반적으로 시/현, 구, 그리고 길 이름과 번지수로 구분되어 있다. 길은 규모에 따라서 路(로)와 街(가)가 있으며 도로가 길 경우 段(단)과 弄(농)으로 구분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번지수가 온다. 즉 한국처럼 큰 단위부터 써내려 간다. 이에 반해 영어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써내려가기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 있다. 이 순서를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아래 표를 본 다음 간단한 예시를 통해 복습을 해보자.   가끔 대만 주소를 보면 길 이름에 동서남북이 들어간다. 이 같은 경우도 어려울 게 없다. 그대로 영문으로 길 이름을 쓰고 東(E)、西(W)、南(S)、北(N)에 맞는 알파벳을 넣어주면 된다. 예를 들어 南京東路(남경동로)를 영문으로 변환하면 Nanjing E. Rd. 이렇게 된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사범대(師範大學) 주소를 가지고 예시를 들어보겠다. 사범대 주소는 台北市大安區和平東路一段162號로 표기된다. 구역을 각각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台北市 – Taipei City 大安區 – Da’an Dist. 和平東路 – Heping E Rd. 一段 – Sec.1 162號 – No.162 우선 이렇게 주소를 변환한 후 영문 주소 순서에 맞게 배열하면 아래와 같은 주소가 된다. No.162, Sec.1, Heping E. Rd., Da’an Dist., Taipei City 물론 우체국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일 편하고 빠른 방법이기는만 이런 소소한 지식들을 알아가는 것도 해외생활의 작은 묘미라 생각한다. 

2023년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은?

  [대만은 지금 = 류정엽(柳大叔)] 최근 취업사이트 1111이 올해 대만에서 가장 흔한 이름 남녀 TOP8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름들을 살펴 보면 작명 배경에는 부모들의 '사랑'이 담겨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이는 이름은 천천(辰辰), 유유(祐祐)로 꼽혔다. 평범하면서도 좋은 의미를 지녔다는 게 그 이유다.  올해 가장 흔한 남자 이름으로는 젠훙(建宏), 옌팅(彥廷), 청언(承恩), 관위(冠宇)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이전(宜蓁), 신위(欣妤), 스한(詩涵), 융칭(詠晴) 순으로 나타났다. 매우 우아하고 고상하게 들린다.  가장 흔한 남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젠훙 建宏  2위 옌팅 彥廷 3위 청언 承恩 4위 관위 冠宇 5위 유팅 宥廷 6위 핀위 品睿 7위 바이한 柏翰 8위 바이위 柏宇 대만에서 가장 흔한 여자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위 이전 宜蓁 2위 신위 欣妤 3위 스한 詩涵 4위 융칭 詠晴 5위 즈칭 子晴 6위 핀옌 品妍 7위 위퉁 羽彤 8위 이쥔 怡君 최근 대만 부모들 사이에서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 튀지 않는 이름이 좋은 이름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만인들은 "뜻도 좋아 이렇게 이름을 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할수록 좋다", "검색하기 쉽지 않다"는 등의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최신 소식